[패스트캠퍼스] [ 자료형의 이해 ] 나도 할 수 있는 Java&Spring 웹 개발 종합반 17~23강

2024. 5. 6. 10:08나도 할 수 있는 Java&Spring 웹 개발 종합반

728x90
반응형

1. 자료형의 종류 알아보기

int : PDT

String : UDDT <- java가 class로 만들어놓았음

 

<실습 : .length( -> 문자열의 길이를 출력함 >

 

2. 기본자료형(PDT)과 문자자료형

 

양수에 -1을 하는 이유 : 0이 있기 때문에

 

https://cafecoder.tistory.com/23 참조

 

정수의 기본 타입 : int

실수의 기본 타입 : double

 

<실습>

 

<실습>

 

3. 문자자료형(char)의 이해

 

<아스키코드>

 

'A' = 65, 'a' = 97  차이값 32

키보드에 있는 모든 영문과 숫자는 코드가 있다

 

<유니코드(UTF-8, 2byte)>

 

EX) '가' = 44032 = '\uAC00'

 

<char의 다양한 형태 테스트>

 

<실습 1>

 

<실습 2>

 

<실습 3>

 

<혼자 코딩해보기>

 

4. 자료형의 변환(Casting)

자료형 -> 크기 정보를 가진다, 형 변환(Casting)시 고려해야 한다

 

자동형변환(묵시적) : 작은 type이 큰 type에 저장되는 경우 (예 : byte -> int )

강제형변환(명시적) : 큰 type이 작은 type에 저장되는 경우 (예 : int -> byte, 손실발생 )

 

* 기본자료형 간의 형 변환

변환 예시 형 변환(강제 형 변환) 결과
int (4byte) > char (2byte) (char)65 'A'
char (2byte) > int (4byte) (int)'A' 65
float (4byte) > int (4byte) (int)2.6f 2(손실)
int (4byte) > float (4byte) (float)10 10.0f

 

Q. int 타입의 정수를 double 타입의 실수로 형 변환하여 출력하시오. (Casting 클래스)

int a = 5;

double b = a; //자동 형 변환

System.out,.println("b = " + b);

 

Q. double 타입의 실수를 int 타입의 정수로 형 변환하여 출력하시오.

double c = 14.6;

int d = (int)c; //강제 형 변환

System.out.println("d = ") + d;

 

<실습>

 

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