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패스트캠퍼스] [ 프로그램의 3대 요소 : 변수(V), 자료형(D), 할당(A) ] 나도 할 수 있는 Java&Spring 웹 개발 종합반 12~16강

2024. 5. 3. 14:03나도 할 수 있는 Java&Spring 웹 개발 종합반

728x90
반응형

1. 변수(Variable)

: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의 이름

 

* 이름 짓는 법 :

1. 숫자로 시작될 수 없다

2. 대소문자가 구분된다

3. 길이 제한이 없다

4. $와 _ 이외의 특수문자를 사용할 수 없다

5. 키워드(예약어)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

(Ex: int, double, if, for class ... )

 

* 변수의 종류

1. 멤버 변수 (인스턴스 변수)

2. 클래스 변수 (스태틱 변수)

3. 지역 변수

4. 매개 변수

 

2. 자료형(Datatype)

: 변수의 크기와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

 

* 변수를 만들 때 고려되는 것 : 크기, 데이터 종류 -> 자료형

기본 자료형 : int, float, char, boolean ...

사용자 정의 자료형 (UDDT -> 클래스) : Book, Movie, Member ... (무한대로 만들 수 있음)

 

* 변수를 만들려면 ( = 메모리에 기억공간을 만들려면?)

선언을 해야 한다

선언 : 자료형과 변수가 만나야 한다

 

자료형 변수이름;

 

Ex) int a;, float b; ...

 

* 기본 자료형의 종류

Data Type 크기 데이터(종류) Default Value (for fields)
byte 1byte 정수 0
short 2byte 정수 0
int 4byte 정수 0
long 8byte 정수 0L
float 4byte 실수 0.0f
double 8byte 실수 0.0d
char 2byte (C언어는 1byte) 문자 ('내용'), ("이거 안됨!") \u0000, null
boolean 1byte 참, 거짓 false

 

3. 할당(Assign)

: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

 

<실습 : 앞으로 8개의 독립적인 변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나은 방안을 찾을 것 (class)  >

 

4. 변수 선언과 할당 및 초기화

 

변수 선언 : 자료형과 변수가 만나는 것 -> 변수(기억공간)에 메모리가 만들어진다

할당 : 변수에 지정된 데이터타입에 맞게 데이터를 저장(대입)하는 행위

L-Value = R-Value;

초기화 : 변수를 만들고 연산을 하기 전에 값을 저장하는 행위

초기화를 하지 않으면 가비지 값(쓰레기 값)이 들어감, 연산이 불가능

 

 

< 실습 >

 

5. 변수와 심볼 테이블

 

심볼 테이블 : 변수를 관리하는 테이블, 변수가 만들어지면 변수를 관리하는 테이블에 변수가 저장된다

왜 관리를 할까? : 변수가 메모리(번지, address)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

변수가 만들어지면 번지를 알아야 함

 

728x90
반응형